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옛날에서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꽃은 8~9월경에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5∼15개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6∼8cm이고, 색은 귤색인데, 안쪽은 주황색이다. 꽃받침은 길이가 3cm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깔때기와 비슷한 종 모양이다.
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네모지며 2개로 갈라지고 10월에 익는다. 중부 지방 이남의 절에서 심어 왔으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능소화의 전설
이 꽃을 "구중 궁궐의 꽃" 이라 칭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에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 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빈의 처소에 한번도 찾아오질 않았다
빈이 여우같은 심성을 가졌다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드렸건만 아마 그녀는 그렇지 못했나 봅니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한 둘이 겠습니까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까지 기거하게 된 빈은
그런 음모를 모르는체 마냥 임금님이 찾아 오기만을 기다렸다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 가까이 왔는데 돌아가지는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라도 나지 않았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았을까
담장 너머너머 처다보며 안타까이 기다림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었답니다
여름 어느날
기다림에 지친 이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 내지는 영양실조로 세상을 뜨게 되었습니다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거창했겠지만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 여인은
초상 조차도 치루어 지지 않은채 담장가에 묻혀" 내일 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
라고 한 그녀의 유언을 시녀들은 그대로 시행 했습니다
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온갖 새들이
꽃을 찾아 모여드는 때
빈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고 높게,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고 꽃잎을 넓게 벌린 꽃이 피었으니
그꽃이 능소화 입니다
덩굴로 크는 아름다운 꽃 이지요
아무튼 능소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 많이 담장을 휘어감고
밖으로 얼굴을 내미는데 그 꽃잎의
모습이 정말 귀를 활짝 열어 놓은 듯 하다 한이 많은 탓일까요
한명의 지아비 이외에는 만지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 였을까요
그 꽃잎에 반해 꽃을 따다 가지고 놀면 꽃의 충이 눈에 들어가 실명한다니 조심해야 합니다
장미는 가시가 있어 더욱 아름답듯이
능소화는 독이 있어 더 만지고 싶은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능소화 꽃은 만지지 마세요
동네 한바퀴를 돌다
어떤 음식점 주차장 마당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 두그루
절정에 이뤄 스마트폰으로
올려봅니다 7월의 한여름
더위조심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愛
-風雲영국신사-
2024.07.11
'my포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 한강신도시 호수공원의 가을 (282) | 2024.10.29 |
---|---|
덕포진 (514) | 2024.08.24 |
선유도 (293) | 2024.06.30 |
김포 한강 호수공원(2024) (688) | 2024.06.06 |
순천만 국가정원(2) (398) | 2024.05.25 |